728x90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강. 미술사에서 양식의 변화와 비례론
02. 이집트와 그리스의 비례론
1) 이집트의 비례론
이집트 사람들이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상을 만들 때 모듈을 만들고 캐논을 이용하였다. 이들에게 개성이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었다. 또한 예술가들도 오늘날의 창의성, 개성을 발휘하는 예술가가 아니라 오히려 기술자에 가까웠다. 정해진 수치를 따라 작업하는 식이니 한 작품의 부분을 떨어진 도시의 예술가가 각자 만든 다음 조합해도 맞을 정도였다.
비례론을 인간 신체에 옮길 때 세 가지 정도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의 독특한 방식 때문에 문제 해결이 가능했다.
- 비례론의 세 가지 문제점
① 동작이나 자세에 따른 비례의 변화
② 관찰자의 시각에 따른 변화
③ 완성된 작품을 보는 시점에 따른 변화
이런 문제점들을 이집트인들이 해결한 방식은 그것을 무시해버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집트 조각은 동작 자체가 크지 않고 한정되어있다. 늘 똑같은 동작과 자세로 변화가 없다. 따라서 동작과 자세에 따른 변화를 묘사할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이집트 부조를 보면 정면성의 원리를 따르고 있다. 늘 얼굴은 옆을 보고 가슴은 앞을 보고 다리는 옆을 본다. 즉 관찰된 시점에 따른 변화를 무시해버린 것이다. 완성된 작품을 보는 시점에 따른 변화는 그냥 보는 것, 무시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미감을 고려하지 않는다. 예술작품의 효과자체가 미적효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숭고함에 있기 때문이었다. 숭고함의 종교적 효과와 정치적 효과에 있었기 때문에 숭고함의 압도적 효과만 있지 비례와 미감을 고려하는 문화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를 무시하는 것이 바로 그들의 Kunst wollen, 예술의지다.
2) 이집트의 사회배경
이집트사회는 종교적 성격을 띠고 있고 영원불명성을 지향하는 사회였다. (ex. 피라미드, 미라) 이집트에서 왜 기하학이 먼저 발달하였는가. 그들의 추상충동에 있다.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강이 범람하고 토지가 모양이 달라지는 일들을 겪는다. 지형이 달라지는데 그 변화에도 불구하고 불변하는 것이 있다. 면적이다. 삼각형과 사각형이라 해도 면적은 같을 수 있다. 눈으로, 감각적으로는 모양이 달라도 초감각적으로 보게 되면 같다는 추상충동이 발달하는 것이 이집트 사람들의 의지다. 이들을 변화를 싫어한다. 변하는 것 속에서 불변하는 것을 뽑아내는 것이 그들의 의지다. 또한 다양한 것이 아니라 공통된 것을 뽑아내는 것이 이들의 의지다. 개별적이 아니라 보편적인 것, 그것이 바로 이들의 예술의지인 것이다.
동작, 자세에 따른 변화는 우연성을 띠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필연적인 어떤 자세, 영원성을 지향했다. 이집트는 왕이 피라미드를 짓고 이 종교적 관념 자체가 정치체제를 규정함으로써 영원불변성이라는 것이 살아있는, 현재를 사는 사람들의 삶의 원리가 되어버린다는 것이다. 또한 모든 것이 위에서 내려오는 명령에 따라 이루어지는 사회기 때문에 예술가들이 개성을 발휘할 여지가 없었으며 이름도 남기지 않았다.
3) 그리스사회의 비례론
그리스시대의 캐논과 그에 대한 저술이 오늘날에는 전해지지 않지만 단편적으로 그 존재가 알려져 있다. 대개는 상당부분 이집트사람들로부터 넘겨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집트의 양식대로 Kunst wollen이 달랐다. 사막지방에서 나일강에 의존해서 사는 이집트와는 달리 그리스는 기후가 좋고 비옥하고 지중해 교역이 발달했다. 이런 좋은 환경에서 사는 현세적인 그리스 사람들이 내세를 지향하는 의지를 담고 있는 이집트인들의 예술의지를 자기 것으로 할 순 없었다는 것이다.
- 그리스인들의 비례론 문제점 해결
① 동작이나 자세에 따른 비례의 변화 - 비례관계의 변화 값을 산정해서 그림
② 관찰자의 시각에 따른 변화 - 우연성을 인정하고 예술가가 단축법을 산정해서 그림
③ 완성된 작품을 보는 시점에 따른 변화
지중해 지방은 내세를 지향하기에는 너무나 아름답고 살기 좋았다. 오랫동안 도시국가였기 때문에 소규모로 아기자기했다. 또한 초기그리스는 민주주의사회였고 문자문화의 도입이 늦었기 때문에 구술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개성이 살아있었으며 상호적이고 구체적인 조형예술이 발달할 수 있었다. 그리스인들의 세계관의 특성과 정치적인 특성이 그리스인들의 예술의지에 영향을 주었고 예술의지는 이집트인들이 무시했던 문제를 다 존중했던 것이다. 그것은 비례론, 거의 수학적인 명징성으로 나타난다.
728x90
'MY PAGE >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제작적 비례와 객관적 비례 - 르네상스 이후의 비례론 (0) | 2013.09.06 |
---|---|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예술의지의 변화에 따른 비례론의 변화 (0) | 2013.09.06 |
진중권 서양미술사 1강 미술사에서 양식의 변화와 비례론 01 (0) | 2013.09.05 |
'미'는 어떻게 규정되는가? - 박정하 (0) | 2013.05.20 |
진중권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편> (0) | 201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