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성애 취향을 가졌던 빙켈만
르네상스 예술가 중에는 동성애자가 많았다. 빙켈만도 동성애자로 전해진다. 고대그리스는 동성애 위에 세워진 문화였다.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에 매료되었던 데에는 이런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빙켈만은 막스부르크에서 가정교사를 할 때 제자와 최초로 관계를 맺었으며 여러 청소년들과 교제했다. 괴테에 따르면 청소년들과 있을 때 빙켈만의 얼굴이 가장 밝게 빛났다고 한다. 그를 살해한 사람도 잠깐 관계를 맺은 남자라고 한다.
빙켈만은 남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고 오직 여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을 보는 사람은 균형 잡힌 미감을 가질 수 없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예술에서 가장 중요시 됐던 것은 남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이다. 고대 그리스는 정복국가였다. 신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가꿨던 이뉴는 개인적인 이유도 있지만 전투 병력이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의 남자들 간의 집단이라는 것은 유사시에 군대 집단이 되어버리고 형제애가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가 없었던 동성애 취향을 가졌던 빙켈만이 이렇게 고대의 연구에 몰두했던 것도 하나의 돌파구, 승화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신고전주의를 가지게 된다.
2. 신고전주의의 배경
1. 바로크가 절정에 달해 사람들이 다른 취향을 요구하고 있었다. 대개 예술사에서 새로운 지점을 돌파할 때는 과거의 과거를 참조하는데 그것이 고전주의다.
2. 폼페이 발굴이 시작되어 베수비오 화산에 묻혀있던 고대도시들이 발굴된다. 고대 유물들이 쏟아져 이것이 그들의 취향을 결정하는 분위기였다.
이런 배경에서 빙켈만의 저서는 독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독일의 괴테와 실러의 문학은 빙켈만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다비드도 빙켈만을 만나 고전취향에 영향을 받았다.
3. 빙켈만의 의의 - 근대적 미술사학 정립
빙켈만의 의의는 근대적 미술사학을 정립했다는 것이다. 그 전에도 바자리의 <예슐거 열전>등이 있었지만 예술가 개인의 전기였을 뿐 역사학이나 보편적 법칙의 발견은 아니었다. 양식의 개념을 최초로 미술사에 도입한 사람은 빙켈만이었더 것이다. 또한 빙켈만은 미술사를 탄생-성장-소멸하는 유기체의 생명활동에 비유해서 설명한다. 하나의 역사적 법칙으로 보는 것이다.
4. 충돌하는 빙켈만의 미술사관
그런데 두 가지 요소가 빙켈만의 요소에 부딪힌다. 하나는 역사주의적 관점이다. 상대주의적 관점이어야 하는데 빙켈만 자신은 고대그리스라는 절대주의적인 미적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보니 미술사적인 문제가 생기는데 고대가 특권화 되면서 나머지 것들은 성숙하지 못한 예술이 되어버린다. 뵐플린의 책에는 여기에 대한 비판이 들어있다. 뵐플린은 선적 역사주의가 아닌 시계추같이 왔다 갔다 하는 것으로 인식했다. 뵐플린의 관점에서는 각각의 양식이 아닌 다 그 나름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질적 비교가 불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한쪽은 초역사적인 고대그리스 예술에 대한 이상이 있는 반면에 실제로 서술하는 방법은 역사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양자가 충돌하게 된다. 빙켈만의 이런 모순은 나중에 나타나게 된다.
5. 독일 전역에 끼친 빙켈만의 영향
빙켈만은 문학, 괴테와 실러 독일 고전주의에 영향을 끼쳤고, 프랑스 고전주의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독일 교육체계 전체에 영향을 끼친다. edle Einfalt und stille GroBe, 고귀한 단순함과 고요한 위대함은 교육의 이상이기도 하다. 인간자체도 그렇게 교육을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이 괴테와 실러를 거쳐 교육으로서 내려간다. 인간형을 만드는데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또한 고대 그리스문화를 예술의 정점으로 본 헤겔철학도 빙켈만의 예술사상을 철학적으로 정립해 완성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진보사관을 가진 맑스마저도 예술의 완성은 고대 그리스 예술이었다고 한다. 빙켈만의 영향은 실로 대단했다.
6. <고대미술사>의 내용
- 고고학의 선구자
빙켈만 시대에는 고고학이 발달하지 않았다. 빙켈만이 사실 근대 고고학의 기초를 놓은 것이다. 그는 고고학의 발굴범이라든지 분류법을 훈수한다. 양식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것이다. 미술사적 관점에서 고고학을 발굴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그다. 선구자였다. 그러다보니 후에 기초적인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 예술양식 변화의 네 가지 단계
그는 예술을 1) 고졸양식 2) 숭고양식 3) 아름다운 양식 (미의 양식) 4) 모방자 양식의 단계로 변했다고 본다. 고전, 고대는 숭고양식이 핵심이다. 빙켈만은 전기에는 숭고양식을 정점으로 보았고 후에는 아름다움의 양식을 정점이라고 보았다.
7. 빙켈만의 한계
빙켈만은 고고학적 반발을 산다. 실제 작품을 많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전체 그리스 미술사를 조감하기에는 직관이 많이 부족했던 측면들이 있다는 것이다. 또 미술사학과 고고학이 아직 발달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특정작품들의 시기 규정문제 등의 오류가 있었다. 실제로 숭고양식을 이상미라고 했던 때에 미의 양식인 라오콘을 고대 그리스 예술의 정점이라고 한다. 당시의 취향, 바로크 취향하고 대결을 하다보니 무리한 이론들이 들어간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색이 전혀 없었다든지. 예술취향을 바꿔놓겠다는 빙켈만의 미학적 전략의 결과라고 생각해본다.
'MY PAGE >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2 (0) | 2014.01.27 |
---|---|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1 (0) | 2014.01.27 |
숭고의 양식과 미의 양식 (0) | 2014.01.17 |
빙켈만과 고대예술 모방론 (0) | 2014.01.17 |
Jeff Koons (0) | 2013.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