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앤스터디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3. 중세의 작품들
01. 중세 작품 감상
- 벽화, 무덤장식
라벤나성당의 벽화다. 벽 전체가 모자이크로 연결되어 있다. 색채의 효과가 주목할만 하다. 가운데는 유스티누스 황제다. 비잔틴 양식이다.
아브라함이 천사들에게 떡을 대접하고 있고 천사들이 사라에게 출산의 예언을 하는 일화다. 색감을 보면 자연색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자기표현성을 가진다. 형태보다 색감이 와닿는다.
선한 목자 예수다. 위의 양과 앞의 양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원근법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근법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하늘에 떠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중세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중세 공간은 우리가 말한 3차원적 공간이 아니라 그냥 채워넣어야 할 화면이다. 공간을 3차원 공간에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에 구성하는 것이다.
석관들이 있는 무덤 내부다. 파란색 석관들이 음습하다. 이것이 바로 중세의 색의 미학이다.
- 책
중세의 책이다. 동방박사 세 사람의 이야기다. 배경을 보면 금을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플로티누스에 따르면 우주는 빛으로 차있다. 공간 자체가 양적공간이 아니라 질적 공간인 것이다.
필사본으로 출애굽기다. 일일이 손으로 쓴 것이며 워낙 양피지기 비쌌기 때문에 안 읽는 책은 칼로 긁어서 또 다시 썼다. 그래서 그런 책들에게 엑스레이를 비추면 원래 텍스트가 나타난다.
회화를 다 그렸다. 이 자체가 예술 작품이다.
표지에 금과 보석들이 박혀있다. 가운는 상아다. 책표지만 해도 고가품이며 중세가 재료미학의 시대였음을 보여준다.
알파벳 D로 금박으로 장식했다. 이 자체가 사물이자 기호로 일종의 레디메이드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현대판 레디메이드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지만 이것은 원본, 오리지널이다.
글자 자체가 데코레이션 되어 있다. 파울 클레가 시 텍스트를 그렇게 해서 그림으로 그렸다.
- 조각
굉장히 섬세하게 장식됐음을 알 수 있다. 금을 많이 사용했는데 이것이 바로 빛의 미학이고 빛의 신학이다.
- 회화
형 자체가 객곽적 비례가 아닌 제작적 비례를 따르고 있고 색깔도 원색이다. 색 자체의 표현성이 살아 있다. 보면 느낌이 현대적이다.
원근법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수가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는 장면이다. 이것도 색 배합이 굉장히 세련됐다. 색을 묘사하는데 중세인들을 따라갈 사람이 없다.
- 건축과 내부 장식
이스탄불인들의 콘스탄티노플이다.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로마제국을 세우고 기독교를 수용해서 처음 수도를 세운 것이 콘스탄티노플인데 지금의 이스탄불이다. 이스탄불에는 기독교문화, 이슬람문화, 아랍문화가 공존한다.
빛의 미학을 연출하기 위해 자연광과 인공조명을 다 사용한다. 그러나 알베르티는 빛을 사용할 때 흑과 백 물감으로 적절히 조합만 시킨다면 빛이라도 못 그릴 것이 없다고 했다. 중세 사람들은 빛을 연출할 때 진짜 빛을 연출했다. 하지만 르네상스 사람들은 물감을 사용한다. 빛이 기호화 되는 것이다.
고딕시대의 작품으로 성당의 기도실에 있는 작품이다. 그 안에 들어가게 되면 몽환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울트라마린은 매우 깊고 파랗기 때문에 그 자체가 루나틱한 느낌을 준다. 거기에 금색이 비치니 그 안에 들어가면 세속의 공간이 아니라는 느낌이다. 초월적인 공간으로 이동한 느낌을 준다.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공간배치다. 연출하는 것이다. 샹들리에가 걸쳐져 있다.
샹들리에에 촛불이 들어가서 조명이 된다. 로마네스크인데 벽이 두껍고 내부에서는 어두운 표현이다. 내부가 어두우니 촛불과 금색 모자이크의 효과를 이용해 내부의 빛을 연출한다.
고딕으로 넘어가면 아주 밝다. 자연광을 주로 이용한다. 아치가 달라졌다. 둥굴던 아치가 뾰족하게 되고 위로 한참 올라갈 수 있게 됐다. 그러다보니 공간이 남고 그걸 터버리고 유리를 채운다. 그 장식을 위해 스테인드 글라스를 쓰고 색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이 몽환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천국의 느낌을 내는 효과가 있다. 자연광 자체가 초월적인 세계의 빛을 상징하는 의미를 띠는 것이고 이것이 가장 중세에서 중요한 심볼릭이다.
- 재미있는 표현들
원근법이 있다. 따라서 늦은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후기 고딕이고 르네상스로 분류해도 지장이 없는 그림이다. 여기 금색 옷이 있다. 이걸 묘사할 때 아직도 사람들은 금칠을 한다. 이 금은 바깥에 있는 금의 기호이자 동시에 그 자체가 금이다. 기호에서 사물의 구별이 안 된다는 것이다. 르네상스적인 요소가 있지만 색과 재료취향은 아직 중세적인 취향이라는 것이다. 또 백합이 있다. 처녀의 상징이다. 중세회화에는 항상 알레고리의 의미가 있다.
말띠선이 있다. 말을 그려놓은 것이다. 여기 나타난 공간은 완전히 르네상스 원근법적 공간과 다르다. 원근법이 없다. 있다 치더라도 굉장히 원시적인 형태의 원근법이 있다.
현대 패션잡지에 나오는 그림 같다. 관을 포장하는 보자기 부분이다. 통곡하는 여인들, 무척 세련되어 보인다.
원근법적 시각으로 본 것이 아니다. 중세 사람들은 그렇게 지각하지 않았다. 뒤로 쭉 건물들이 이어진다고 보았다. 시점이 여러 개가 들어간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큐비즘이 된다.
집의 내부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뜯어냈다. 재밌다. 그래도 나름대로 투시를 한 것이다. 중세 사람들은 원래 배경을 중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의 투시는 그래도 르네상스적 요소가 많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의 표현방법이 재밌다.
기하학적으로 네 개의 원을 겹쳐서 테두리를 따게 되면 클로버 모양이 된다. 기하학적 모양이고 색깔자체가 효과가 다르다.
02. 칸트의 미적 무관심성
칸트는 미적 무관심성 얘기를 한다. 똑같은 사물에 대해 사람들은 다른 미적 평가를 내린다. 그는 이상적인 조건이라고 하면 모든 사람들이 일치할 것이라는 것이다. 합리주의자들은 미의 객관적 기준이 있다고 믿었다. 경험주의자들은 미의 객관적 기준이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걸 찾아들어간다. 경험주의자들은 개별선을 존중한다. 개별적인 취향이 다 다르다는 것은 영국 경험주의자들에겐 너무나 분명했꼬 반면에 합리주의자들은 회의주의로 빠질 수 있는 것이다. 기준 자체가 없어진다. 그러나 고전주의자들은 기준이 있다. 그것에서 벗어나면 안된다는 굉장한 독단주의다. 회의주의와 독단주의가 결합하는 것이 칸트다. 칸트는 사람마다 미적 판단이 달라진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준이 있다. 이상적인 조건이라면 사람들의 미적 판단이 일치할 것이라는 사람들이 미적 판단을 할 때에 순수한 미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 관여한다. 그렇기 때문이 미적 판단을 할땐 미적 무관심성을 가져야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칸트는 재료는 보지 말고 형만 보라고 한다. 순수한 추상적인 어떤 요청을 하는 것이다.
03. 중세 사람들의 재료취향에 관하여
재료를 보지 말라는 칸트의 말은 중세 사람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이들은 왜 재료취향을 가지고 있었는가. 기본적으로 졸부취향이라는 것이다. 이들의 문명, 예술은 본디 소박했다. 재료취향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굉장히 천박하고 세련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 부가된 의미는 얼마나 심오한가. 초월적인 빛의 상징이라는 것이다. 묘한 극단성, 극과 극의 결합이라는 것이 중세예술의 매력이다. 중세 사람들의 이성자체가 극단적이다. 세계는 친구 아니면 적이다. 천사 아니면 악마다. 굉장히 극단적인 사고방식이었는데 이런 것이 예술취향에도 그대로 나타나는 것이다. 천박한 재료취향이지만 상징은 굉장히 고상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중세의 매력이다.
04. 잃어버린 기법을 찾아서 - 르네상스
중세 말이 되자 사람들은 현세를 긍정하기 시작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부터 그런 경향이 나타난다. 그는 '사물을 묘사할 때 신의 창조 질서대로 묘사하라'고 한다. 상상과 현실을 구별한 것이다.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가 열린다. 르네상스 고대의 formal definition, 객관적 비례론, 색을 바깥의 자연세계와 가깝게 묘사하는 방식, 그리고 고대인들도 가지지 못했던 수학적 원근법까지 발견한다. 예술 의지가 달라졌다. 묘사하려고 하는데 현세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 그러면 기법은 만들어질 수 밖에 없다. 잃어버린 기법, 그것을 되찾는 삼백년 역사가 바로 르네상스다. Kunst Wollen, 예술의지는 변했는데 Konnen, 능력이 따르지 않는다. 그걸 다시 찾아내는 것이 르네상스의 역사인 것이다.
'MY PAGE >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중권 서양미술사 4강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02 (0) | 2013.10.05 |
---|---|
진중권 서양미술사 4강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01 (0) | 2013.10.02 |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2 (0) | 2013.09.12 |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1 (0) | 2013.09.11 |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제작적 비례와 객관적 비례 - 르네상스 이후의 비례론 (0) | 2013.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