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M ART : AN INTRODUCTION
5. THE SHOT : MISE-EN-SCENE
한 편의 영화를 본 뒤,
우리는 편집이나 카메라 움직임, 디졸브나 외화면음향은 기억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장면화 부분은 거의 확실히 기억한다.
장면화란 무엇인가 - 영화연출에 있어 감독이 영화 화면에 나타나는 것들을 통제한다는 의미다. 세팅, 조명, 의상, 극중인물이 행위가 그것이다. 장면화를 통제함으로써 감독은 카메라 전방의 사건을 무대화한다.
사실주의 – 모든 영화들에 대해서 사실주의를 완고하게 주장하는 것은 장면화의 광범한 가능성을 간과하게 할 수도 있다. 사실주의에 대한 우리의 개념과 맞지 않는다고 이러저러한 요소를 비난하기보다는 장면화의 기능을 탐구하는 것이 더 낫다. 즉, 영화작가는 장면화의 어떠한 체계도 이용할 수 있으며, 우리는 영화 전체에서의 그 기능, 즉 장면화가 어떻게 동기화되며, 어떻게 다양화되고 혹은 전개되는지, 그리고 서사 혹은 비서사 형식과 관련하여 어떻게 작용되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장면화의 위력 – 장면화는 현실에 대한 정상적 관념을 초월하는 힘을 갖고 있다. + 멜리에스
장면화의 측면들 – 장면화는 영화감독에게 어떠한 선택과 통제의 가능성을 주는가?
(1) 세팅 : 앙드레 바쟁 “연극에서는 인간이 가장 중요하다. 화면 위의 극은 배우 없이도 존재할 수 있다. 탕 하고 닫히는 문, 바람 속의 나뭇잎, 해변에서 부서지는 파도는 극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몇몇 걸작영화들은 인간을 엑스트라처럼 오직 부속품으로, 혹은 진정한 주인공인 자연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용한다.” 영화의 세팅은 사건행위를 위한 그릇으로만 사용될 필요가 없으며 역동적으로 서사행위에 참가할 수 있다. 사건행위를 무대화할 기존의 현장을 선택(location shooting)하거나 세팅을 건축할 수도 있다.
세팅의 ‘사실주의’라는 것이 영화감상에서 관습의 문제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사실주의적인 것으로 우리에게 감명을 주는 것이 미래의 관객에게는 아주 양식화된 것일 것이다. 어떤 영화들은 역사적인 개연성에 아주 의식적이지는 않았고 조셉 폰 스턴버그의 <지하세계>의 색종이 꽃들로 장식한 화면처럼 연기자를 압도할 수도 있고, 고다르의 <즐거운 지식>, 드라이어의 <잔 다르끄의 열정>에서처럼 세팅이 공백일 수도, 놀랍게도 부재할 수도 있다. 독일 표현주의 예술로부터 커다란 영향을 받은 영화인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의 거리와 건물들처럼 구부려지고 뒤틀릴 수도 있다. 또한 세팅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 영화에 색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사기능을 위하여 한 쇼트의 세팅을 조작하면서 영화작가는 ‘소도구’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세팅의 일부가 지속적인 행위 내에서 적극 작용하도록 동기화되는 경우 우리는 그것을 ‘소도구’라고 부른다. 세팅 요소들 사이에 평행성을 창조하기 위해서 천연색을 사용할 때는, 색채 모티프가 여러가지의 소도구와 연관되도록 장치한다. 반복적인 색채가 드라마의 곳곳에서 일련의 자연 모티프를 창조하는 것이다.
'MY PAGE >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문화아나토미 2강 대중문화 개념 읽기 - 양효실 (0) | 2013.03.16 |
---|---|
대중문화아나토미 1강 문화 다원주의에 대한 문제제기 - 양효실 (0) | 2013.03.16 |
미장센 [Mise-en-Scene] (0) | 2013.03.13 |
짧은감상 : <잭 더 자이언트킬러> <지슬> (0) | 2013.03.09 |
oh, my, <Stoker>! (0) | 201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