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PAGE/Art45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3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m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3. 중세의 작품들 01. 중세 작품 감상 - 벽화, 무덤장식 라벤나성당의 벽화다. 벽 전체가 모자이크로 연결되어 있다. 색채의 효과가 주목할만 하다. 가운데는 유스티누스 황제다. 비잔틴 양식이다. 아브라함이 천사들에게 떡을 대접하고 있고 천사들이 사라에게 출산의 예언을 하는 일화다. 색감을 보면 자연색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자기표현성을 가진다. 형태보다 색감이 와닿는다. 선한 목자 예수다. 위의 양과 앞의 양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원근법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근법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하늘에 떠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중세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중세 공간은 우리가 말한 3차원적 공간이.. 2013. 9. 16.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2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m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2. 중세예술과 현대예술의 공통점 01. 자연을 두 겹으로 본 중세인들 하느님의 속성을 인간은 모른다. 다만 아이:아버지=인간:하느님으로 짐작하는 것이다. 신은 초월적인 아버지를 상징한다. 중세에는 알레고리가 발달한다. 여기서 자연을 보는 태도가 달라진다. 중세에 들어와서 미에 대한 규정이 이중화되었다. (formal definition, material definition) 이것은 가시적인 세계에 나타날 때 이렇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중세 사람들은 자연도 두 겹으로 본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material definition이 없었기 때문에 자연을 한 겹으로 보았다. 어떤 대상을 봤다면 비례관계를 찾아 .. 2013. 9. 12.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1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m 진중권 서양미술사 3강. 빛의 미학, 중세예술 01. 중세미학에 관하여 01. 색과 빛을 중요시한 중세미학 이탈리아의 미술사학자 Rosario Asunto의 이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중세의 예술론들, 미론과 예술론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미술사에서는 형이냐 색이냐 하는 아주 오랜 논쟁이 있었다. 고전주의적인 관념을 가진 사람들은 형을 중요시했고 바로크적인 취향을 가진 사람들은 색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 논쟁은 결국은 둘 다 중요하다는 타협안으로 귀결된다. 중세미학에서는 기본적으로 형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색이다. 색과 및이 연출하는 효과 이것이 중세예술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02. formal definition과 material defin.. 2013. 9. 11.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제작적 비례와 객관적 비례 - 르네상스 이후의 비례론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제작적 비례와 객관적 비례 02. 르네상스 이후의 비례론 01. 르네상스 - 객관적 비례의 재등장 르네상스면 객관적 비례가 다시 등장한다. Wollen(하려고 하는 의지)과 Konnen(할 수 있는 것)을 구분했다. 우리가 르네상스의 관점에서 중세작품들을 보게 되면 못 그린 그림 같다. 그래서 Konnen의 관점에서 미술사를 보면 중세양식은 발전하지 못한 것, 서구식으로 그리지 않은 것은 미개한 양식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 르네상스예술은 르네상스 예술대로, 중세예술은 중세예술대로 아름답다고 평가한다. 미적 평가 자체가 다원주의화된 것이다. Wollen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뭐냐면 이 Wol.. 2013. 9. 6.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예술의지의 변화에 따른 비례론의 변화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2강. 예술의지의 변화에 따른 비례론의 변화 01. 예술의지에 따른 비례론의 변화 01. 시대에 따른 비례론의 변화 시대 비례론 이집트 객관적 비례 고대그리스 객관적 비례 중세 제작적 비례 르네상스 객관적 비례 마니에리즘/현대CG 과장된 객관적 비례 이집트인들은 모눈으로 정확하게 비례에 맞춰 작업했다. 그리스도 이런 비례론을 이집트에서 그대로 빌려왔다. 그러나 그리스에서는 동작, 우연성을 표현하기 위해 그때그때 비례를 다 측정해 놓는다. 이집트에서는 볼 수 없는 동작감이 느껴진다. 중세 사람들이 추구했던 비례는 객관적 비례가 아니라 제작적 비례다. 예술의지가 달라진 것이다. 르네상스에서는 고대의 비례룐이 다시 부활한다. 사진의 등장으로 실물.. 2013. 9. 6.
진중권 서양미술사 1강 미술사에서 양식의 변화와 비례론 02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강. 미술사에서 양식의 변화와 비례론 02. 이집트와 그리스의 비례론 1) 이집트의 비례론 이집트 사람들이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상을 만들 때 모듈을 만들고 캐논을 이용하였다. 이들에게 개성이라는 것은 있을 수가 없었다. 또한 예술가들도 오늘날의 창의성, 개성을 발휘하는 예술가가 아니라 오히려 기술자에 가까웠다. 정해진 수치를 따라 작업하는 식이니 한 작품의 부분을 떨어진 도시의 예술가가 각자 만든 다음 조합해도 맞을 정도였다. 비례론을 인간 신체에 옮길 때 세 가지 정도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의 독특한 방식 때문에 문제 해결이 가능했다. - 비례론의 세 가지 문제점① 동작이나 자세에 따른 비례의 변화② 관찰자의 시각에 따른 변.. 2013.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