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2 비평의 역사와 비평문의 3요소 1. 비평의 역사 드레스너 Albort Dresdner의 이라는 책이 있다. 1915년 작품이다. 거의 90년 만에 책이 다시 나왔는데 그만큼 비평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없었다는걸 얘기하는 것이다. 오늘날 들어와 비평이 왜 다시 문제가 되냐면 작가의 사후에 들어가던 비평이 요즘은 아예 같이 나온다. 또한 예술의 이론의존다가 상당히 늘어난다. 현대예술가 같은 경우에 철학의존도가 상당히 늘어났고 그러다보니 잭슨 폴록이 있으면 그린버그가 있다는 식의 작가와 비평가를 결합시키는 시대가 됐다. 비평가들이 막강한 권력을 갖게 된 것이다. 이들이 최근에는 큐레이터까지 되어서 사회적 권력도 늘어난다. 그래선지 비평에 대한 관심들이 다시 일어났고 이 책이 다시 복간된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부터 당시에 이르기까지 비평의.. 2014. 4. 2. 현대예술에 대한 태도들 - 프랑스 고전주의 중심의 상실 1. 한스 제들마이어 한스 제들마이어는 철학자 하이데거와 비슷한 면이 있다. 굉장한 지성과 보수주의가 결합되어 있는 사람인 것이다. 그는 뛰어난 미술사학자로 당시 주요한 현대예술의 경향들을 아주 정확히 짚어낸다. 문제는 거기에 대한 평가가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예술에서 모더니티 자체를 인정하지 못한다. '중심의 상실이다'라고 한다. 이것을 퇴폐에술이라고 해서 entartete, 퇴폐적이라고 불렀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굉장히 퇴화했다는 말이다. entartete kunst 이렇게 현대 예술의 상태를 진단했고 이것이 나치의 예술정책이 되어버린다. 나치가 퇴폐예술전을 열어 현대예술가들, 특히 키르히너라든지 파울 클레라든지 이런 작품들을 퇴폐예술로 분류해 돌렸다. 전국에 순회시키면서 모욕을 당하게 만들었다. 반.. 2014. 3. 27. 진중권 서양미술사 13강 추상에 관하여 02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3강. 추상에 관하여 02 추상에 관하여 01. 표현주의 보링거는 문명의 초기에는 추상충동을 가질 수 밖에 없고 그것을 통해서만 인간이 안정감을 느낀다고 했다. 원시 예술을 긍정한 것이다. 소위 원시예술이라고 부르는 것도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 예술이라는 얘기가 된다. 원시인들은 대자연 앞에서 공포를 느꼈다. 그 공포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양식 자체가 추상적으로 변하고 그 부분에서 표현주의가 들어가는 것이다. 현대인들도 20세기에 세계와 친화성을 느끼지는 못하고 변해가는 세계 앞에서 현대인들도 공포감을 느낀다. 원시인들이 자연 앞에서 느낀 공포를 현대인들은 사회 앞에서 느끼게 된 것이다. 이때 추상적인 양식이 나오는 것이다. 이것이 독일의 .. 2014. 3. 27. 진중권 서양미술사 13강 추상에 관하여 01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3강. 추상에 관하여 01 추상충동과 감정이입충동 01. 테오드르 립스의 감정이입설 추상과 감정에 대해 크게 두 가지 이론적인 근원이 있는데 하나는 테오드르 립스라는 사람의 감정이입설이다. 립스는 심리학자로 미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감정 이입설로 설명을 한다. 미에는 객관적인 견해와 주관적인 견해가 있다. 자연적 기초를 가지고 있는 물리적이고 측정 가능한 속성을 이야기 하는 객관적 견해가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주관적인 미가 있다. 테오드르 립스의 이론은 굉장히 주관적이면서도 일종의 관계주의적인 이론인 것 같다.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사물이 가지고 있는 객관적 속성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주관성을 사물에 투입한 다음 그것을 보고 좋아할.. 2014. 3. 27.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2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2 예술의 종언 01. 두 가지 차원의 예술의 종언 예술 종언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예술의 본질이 가장 잘 드러났더 고대 그리스. 그때 한 번 예술은 종언을 고한다. 예술의 전성기는 고대 그리스에 이미 끝난 것이다. 또 하나는 낭만 예술의 종언이다. 모든 예술 양식의 종언이라는 것으로 중세 때부터 시작된다. 중세 문화에서는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가면 예술의 시대가 아니라 종교의 시대라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예술이라는 것은 단지 예술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한마디로 세계관이다. 신들이 예술의 형태로 존재한다. 예술이 시대정신이었다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절대정신이 예술이라는 상징 형식으로 표현.. 2014. 1. 27.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1 아트앤스터디www.artnstudy.co.kr 진중권 서양미술사 12강. 헤겔미학과 예술의 종언 01 헤겔의 미학 01. 빙켈만의 영향 빙켈만의 그리스예술 모방론은 곧바로 철학자들에게 받아들여져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 빙켈만 덕분에 바로크 취향 말기에 다시 고전주의취향이 부활했다는 측면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독일 고전주의를 탄생하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또한 이 영향은 철학에도 미쳤다.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헤겔이고 심지어 맑스 같은 역사주의자까지도 빙켈만의 영향 아래 있었다. 빙켈만은 모순을 가지고 있었다. 전기의 모방론,그리스 예술의 모방론에서 그리스 예술을 초역사적인, 모든 시간과 시대의 문화적 차이를 초원한 하나의 절대적인 규범으로 설정한것이 있다. 또 경험적으로 발전시킨 양식의 시대적 변화를 .. 2014. 1. 27. 빙켈만의 의의와 한계 1. 동성애 취향을 가졌던 빙켈만 르네상스 예술가 중에는 동성애자가 많았다. 빙켈만도 동성애자로 전해진다. 고대그리스는 동성애 위에 세워진 문화였다. 빙켈만이 고대 그리스에 매료되었던 데에는 이런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빙켈만은 막스부르크에서 가정교사를 할 때 제자와 최초로 관계를 맺었으며 여러 청소년들과 교제했다. 괴테에 따르면 청소년들과 있을 때 빙켈만의 얼굴이 가장 밝게 빛났다고 한다. 그를 살해한 사람도 잠깐 관계를 맺은 남자라고 한다. 빙켈만은 남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고 오직 여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을 보는 사람은 균형 잡힌 미감을 가질 수 없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예술에서 가장 중요시 됐던 것은 남자의 신체의 아름다움이다. 고대 그리스는 정복국가였다. 신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가꿨던 .. 2014. 1. 17. 숭고의 양식과 미의 양식 1. 아름다움의 원천 자연모방은 르네상스 이후로 서구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여겨졌다. 회화란 자연의 모방에고 이때 자연은 실체모방이라는 것이다. 알베르티 역시 실체를 단지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아름다움으로 끌어올리라고 한다. 빙켈만 역시 자연을 모방해서는 안되고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하는데 강조점이 좀 다르다. 자연모방보다는 다른 쪽에 초점이 찍힌다. 여기서 라파엘의 이야기가 나온다. '내가 모델을 구하는데 현실의 여인들을 보게 되면 이상적인 아름다움에서 떨어져 있다.'라는 것이다. 자연묘사를 했을 때, 여체, 자연자체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그는 머릿속에 있는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관념을 가지고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화폭 속의 아름다움의 원천은 자연이 아니라 아이디어, 이데아다.. 2014. 1. 17. 빙켈만과 고대예술 모방론 1. 빙켈만에 관하여 요한 요아힘 빙켈만의 저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유명한 (고대예술모방론)이고 또 라는 책이 있는데 후기 저작이고 또 주저이기도 하다. 먼저 첫 번째 책인 에 나타난 관념들을 중심으로 신고전주의의 재등장에 대해 알아보겠다. 은 발매가 되자마자 특히 지성계에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 책 한권만으로 빙켈만이 유럽에서 저명인사로 통하기 된다. 2. 빙켈만의 생애 빙켈만은 출신성분 자체가 좋은 편은 아니었으며 아버지는 구두수선공이었다. 일반적으로 학자를 배출할만한 집안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어렸을 때부터 학교에 들어가서 라틴어를 배우고 신학대학에 들어간다. 신학엔 별 관심이 없었고 주로 고전, 고대의 문헌에 대한 연구만 한다. 그러면서 라틴어와 그리스어만 익히게 되고 .. 2014. 1. 17.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